아버지가 재활병원에서 재활을 꾸준히 받고 있던 어느날이었다. 갑자기 기침을 하기 시작하다가 열감이 생겼다. 이 때가 코로나 시절이었기 때문에 코로나 검사 키트를 이용해서 검사를 진행했다. 양성이 나와 타 병원에 입원하여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했다. 왜 이 병원에서는 안되냐고 물었더니 재활병원이라 코로나가 전염되기 때문에 안된다고 하더라. 격리 병동조차 없었다고 했다. 아버지는 대학병원에 가서 다시 검사를 받았다. 응급실로 이동 중에 구급대원이 '원래 다니시던 병원이에요?'라고 물었는데, 나는 그렇다고 했다. 그러자 '요새는 코로나 환자가 너무 많아서 대학병원에서 잘 안받아 주는데, 다니시는 병원이면 받아 줄거에요'라고 설명을 해줬다. 병원도 학연*지연*혈연처럼 연고가 있어야 다니기 편하다는 사실을 다시금..
재활병원으로 옮기고 난 후 아버지의 재활치료 시간이 대폭 늘어났다. 대학병원에 있을 때는 하루에 한시간 정도 했다. 30분씩 2타임이었거든. 하지만 여기 와서는 하루에 3~4시간으로 늘어난 것이 아주 좋았다. 아버지도 활동량이 많아지니 표정이 밝아졌다. 나 역시도 기분이 좋았다. 운동은 어떤 것을 했느냐면 침대에 다리를 고정시키고 서는 운동은 고정적으로 30분 하게 됐다. 그리고 워커라고 불리는 보행기를 팔로 지탱하여 아버지가 밀고 다니면서 걷는 운동을 하는 것이었다. 사이클 타는 것도 있었는데, 아버지에게는 쉬운 것이 아니었다. 아버지가 상반신은 멀쩡하니 허리를 곧추 세우고, 버티고 있으면 내가 사이클 발에 아버지 발을 끼워서 아버지가 스스로 다리를 움직이는 운동이었다. 뭐든 처음에는 쉬운 것이 하나도..
대학병원에 입원한지 6개월이 다 됐을 무렵, 병원에서 퇴원하자는 이야기가 나왔다. 병원 측 말로는 이렇게 지낸 것도 오래 버틴 것이라고 했다. 걱정이 앞섰다. 아버지는 이 상태로 퇴원을 하게 되면 집에서 아무것도 할 수 없는데 말이다. 간병인 말을 들어보니 아버지는 재활병원으로 전원을 할 수 있다고 했다. 재활병원에 전화를 돌리면서 전원이 가능한지 알아보기 시작했다. 집에서 가까우며 시설이 괜찮고 명망좋은 병원을 고르는 것은 쉬운 일은 아니었다. 리뷰를 봤을 때, 사람들이 좋은 말을 많이 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의심병이 돋아서 쉽사리 믿기 힘들었다. 하지만, 선택의 시간은 다가오고 있었기 때문에 그나마 제일 괜찮아 보이는 재활병원을 선택했고, 거기서 사람을 보내줄테니 상담해보라..